TOP

신세계 뉴스 / 칼럼신세계 뉴스 / 칼럼

  • Home
  • 성공사례

신세계 뉴스 / 칼럼

신세계 뉴스 / 칼럼

[칼럼] 양육비 산정기준표와 산정방식, 1인 자녀에 대한 양육비 산정법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작성일25-09-18

본문

양육비 산정기준표와 산정방식, 1인 자녀에 대한 양육비 산정법

 

2025년 최신 양육비 산정 완벽 가이드

산정기준표 활용법부터 1인 자녀 계산법까지

강헌구 이혼전문변호사 / 법무법인 신세계



이혼을 할 때 미성년 자녀가 있다면 양육비 산정은 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오늘은 2025년 최신 양육비 산정기준표와 구체적인 산정 방법, 그리고 자녀가 1인일 때의 특별한 계산법까지 종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양육비 산정기준표의 역사와 특징

서울가정법원은 정기적으로 양육비 산정기준표를 제공하여 전국 가정법원에서 양육비 산정 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최초 양육비 산정기준표는 2012 5 30일에 제정되었고, 2014, 2017, 그리고 마지막으로 2021 12 22일에 총 3차례 개정되었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2021년 개정 양육비 산정기준표는 2025년에도 개정 없이 그대로 사용되므로, 이것이 바로 2025년 최신 양육비 산정기준표입니다.


2025년 양육비 산정기준표의 주요 특징

  1. 자녀에게 이혼 전과 동일한 수준의 양육환경 유지

  2. 소득이 없더라도 필요 최소한의 양육비 책임 분담

  3. 사회 전반의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전체적인 양육비 액수 증액

  4. 부모의 합산소득 구간 중 고소득층 구간과 자녀의 나이 구간 세분화

  5. 양육비 가중 및 감산 요소 보완

이러한 개정을 통해 물가 및 국민소득의 상승, 영유아 보육지원제도의 개선 등 변화된 사회경제적 사정을 잘 반영한 내실 있는 기준표가 마련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양육비 산정 방법 5단계

양육비를 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계산합니다.

1단계: 부모 합산 소득 산정

세전 소득 기준으로 근로소득, 사업소득, 임대소득, 이자소득, 보조금, 연금을 모두 합한 금액을 계산합니다.

2단계: 자녀의 연령대 확인

자녀의 나이에 따라 해당하는 연령대를 확인합니다.

3단계: 표에서 자녀의 양육비 총액 확인

산정기준표에서 부모 합산소득과 자녀 연령에 해당하는 양육비 총액을 찾습니다.

4단계: 비양육자의 분담비율 산정

부부 합산소득 중 비양육자 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합니다.

5단계: 최종 양육비 산정

양육비 총액에 비양육자의 분담비율을 곱하여 비양육자의 양육비를 산정합니다.


실제 계산 예시

자녀 2인인 경우 (기본 케이스)

조건:

  • 15세 딸 1, 8세 아들 1인인 4인가구

  • 월 평균 세전 소득: 양육자 180만원, 비양육자 270만원

계산 과정:

  1. 부모의 합산 세전 소득: 450만원 (180만원 + 270만원)

  2. 자녀의 연령 확인: 8, 15

  3. 양육비 총액: 2,542,000 (아들 1,140,000 + 1,402,000)

  4. 비양육자 분담비율: 60% [270만원 ÷ (180만원+270만원)]

  5. 비양육자의 양육비: 1,525,200 (2,542,000× 60%)

결과: 비양육자가 양육자에게 매월 지급해야 하는 양육비는 1,525,000입니다.



자녀 1인일 때의 특별한 계산법

양육비 산정기준표는 자녀가 2인일 때를 기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2021년 통계자료상 표본 가구 중 양육자녀가 2인인 가구의 비율이 58%로 가장 높았기 때문입니다.

자녀 수에 따른 가감산 계수

  • 자녀 2: 산정기준표 그대로 사용

  • 자녀 1: 가산계수 1.065 적용

  • 자녀 3인 이상: 감산계수 0.783 적용

자녀 1인 계산 예시

조건:

  • 가족관계: 원고, 피고, 16세 딸 1

  • 양육자: 원고

  • 소득(세전): 원고 월 150만원, 피고 월 180만원 + 임대소득 20만원

계산 과정:

  1. 부모의 합산소득: 350만원 (150만원 + 180만원 + 20만원)

  2. 자녀 나이: 15~18세 구간

  3. 부모 합산소득 300~399만원 구간 해당

  4. 구간 평균값: 1,227,000

  5. 자녀 1인 가산계수 적용: 1,227,000× 1.065 = 1,306,755



양육비 산정 시 고려사항

양육비를 산정할 때에는 기본적인 계산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상황과 사정들이 고려됩니다.

  • 자녀의 수

  • 고액의 교육비

  • 부모의 개인회생 사정

  • 기타 특별한 양육 환경



양육비 증액의 현실적 의미

양육비는 미성년자녀가 부모의 이혼에도 불구하고 이전과 같은 수준의 양육환경을 누릴 수 있는 최소한의 필수 조건입니다. 최신 양육비 산정기준표가 생기면서 양육비 증액 청구소송이 크게 늘었는데, 과거의 양육비 금액이 비현실적으로 적었던 것을 고려한다면 자녀의 복리 차원에서는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마무리

2025년 최신 양육비 산정기준표와 산정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자녀의 복리와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특히 자녀가 1인인 경우의 가산계수 적용법을 모르면 적정한 양육비를 받지 못할 수 있으니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양육비 산정은 단순한 계산을 넘어 각 가정의 구체적인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정확한 양육비 산정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